logo

협의회 유튜브
subtitle
다채롭고 생생한 사회복지트렌드를 제시합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창조와 협력의 힘을 이끄는 발원지

협업 공간의 디자인 <1> - 코워킹 스페이스

 

 

 

11.jpg

 

 

미국의 저명한 경제학자 제러미 리프킨(Jeremy Rifkin)은 자신의 저서 <3차 산업혁명>에서 SNS 등의 글로벌 네트워크가 교류의 욕구와 공동체에 대한 추구를 촉발했고, 이런 패러다임과 새로운 기술이 가져오는 수평적 경제 기회가 ‘소유’라는 자본주의의 중심 원리를 흔들 것이라고 말했다. 고전 경제 이론의 신봉자들에겐 이런 주장이 허무맹랑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어느새 우리 삶 곳곳에 스며드는 ‘공유 경제’ 모델들을 보고 있자면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로 느껴진다.

오늘날 많은 사람이 오픈 소스를 통해 DIY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고,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이전까지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제품을 세상에 등장시키기도 한다. 또 아이들의 장난감이나 자동차를 공유하거나 에어비앤비에서 숙소를 구하는 일도 예전에 비하면 무척 자연스러워졌다. 이런 추세와 맞물려 새롭게 떠오르는 공간 유형이 ‘코워킹 스페이스’와 ‘메이커스페이스’ 같은 협업 공간이다. 이 공간들은 최근 불어 닥치고 있는 ‘스타트업 붐’이나 ‘메이커스 운동’ 등과 접점을 만들어내며 새로운 공간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수평적 경제모델의 아이콘 <코워킹 스페이스>

 

한 지붕 아래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모여 일하는 사무 공간을 이르는 ‘코워킹 스페이스’는 새로운 공간 패러다임을 대표하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코워킹 스페이스’의 확산 속도는 실로 놀랍다. 미국의 경우 2012년과 2013년까지 불과 2년 새 400%의 성장세를 기록했고, 영국과 독일, 일본, 중국 등지에서도 새로운 오피스 문화로 확실히 자리 잡은 모습이다.

샌프란시스코에서 프리랜서 엔지니어로 활동하던 브래드 뉴버그(Brad Neuberg)는 혼자 일하는 것에 외로움과 한계를 느껴 2005년 최초의 코워킹 스페이스 ‘햇 팩토리(Hat Factory)’를 탄생시켰다. 초기 코워킹 스페이스는 주로 개발자들을 위한 공간이었지만, 이제는 디자이너, 작가, 뮤지션, 비즈니스 리더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이곳을 찾고 있다.

 

12.jpg

▲ 메이크시프트 소사이어티(Makeshift Society) - 샌프란시스코

 

 

샌프란시스코와 브루클린에 거점을 둔 ‘메이크시프트 소사이어티’는 진화하는 코워킹 스페이스의 전형을 보여준다. 30평도 채 되지 않는 협소한 2층짜리 공간에서 시작한 이들은 핸드메이드 제품 판매 전략이나 아티스트의 커리어 관리 노하우 등 프리랜서 디자이너와 수공예가, 예술가들을 상대로 한 실용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큰 인기를 모았고, 이런 성공에 힘입어 브루클린의 한 오래된 연필공장 창고를 사들여 2호점까지 오픈했다.

 

 

13.jpg

▲ 메이크시프트 소사이어티(Makeshift Society) - 브루클린

 

 

이것이 비단 먼 나라의 이야기인 것만은 아니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코워킹 스페이스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스콧 둘레이(Scott Doorley)와 스콧 위트호프트(Scott Witthoft)가 스탠퍼드 대학 산하 디스쿨에서 진행한 5년간의 공간 실험을 바탕으로 쓴 책 <메이크 스페이스: 창의와 협력을 이끄는 공간 디자인>은 공간의 구성이나 집기의 형태가 협력을 이끌어내는 데 효과가 있음을 강조한다. 작년 1월 성수동에 문을 연 ‘카우앤독(Co Work and Do Good)’의 공간에서는 이런 배려와 기획력이 느껴진다.

 

 

 

14.jpg

▲ 카우앤독(COW&DOG)

 

 

 

건축가 조재원이 이끄는 ‘01스튜디오’는 이곳을 디자인하면서 각기 다른 형태의 업무 방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뒀다. 다시 말해 조용히 홀로 일할 수 있는 공간부터 자연스러운 협업과 교류가 일어날 수 있는 공간까지, 다양하게 구획을 나누고 협업의 DNA가 스며들 수 있도록 작은 디테일까지 세심하게 공을 들인 것이다. 자체 제작한 1층 개방형 카페의 테이블이 그 예인데, 비스듬하게 경사진 각도로 제작한 이 테이블은 서로 시야를 가리지 않고 의견을 개진할 수 있게 해주는 한편, 모듈 형태로 모임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다.

 

16.jpg

17.jpg

▲ 무중력지대 대방동

 

 

한편 건축과 공간디자인 자체가 코워킹 스페이스의 성격과 정체성을 보여주는 경우도 있다. 지난 4월 노량진 인근에 문을 연 코워킹 스페이스 ‘무중력지대 대방동’이 대표적이다.. ‘카우앤독’이 소셜 이노베이터를 꿈꾸는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공간이라면, ‘무중력지대’는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공간이다.

타깃의 연령대가 분명한 만큼 건물 역시 그들의 취향과 성격을 반영하는 데 집중한 모양새다. 무중력지대 대방동 건물은 해상운송용 ISO컨테이너 12개를 쌓아 올려 만들었는데, 청년들의 역동성과 활력을 나타내는 건축적 메타포다. 외관에 주황색을 입힌 것 역시 이런 활기찬 느낌을 반영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이처럼 다양한 형태의 협업을 가능케 하는 공간 구성과 디자인은 수평적 경제모델의 확산에 이바지하고 있다.

 

 

- 협업 공간의 디자인 <2> - 메이커스페이스’에서 계속 -

 

* 출 처 : 한국디자인진흥원 (http://www.kidp.or.kr)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 Feature 홈리스의 건강한 삶과 원활한 사회복귀를 위한 변신 트럭 (Transform Truck)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6.12.09 595
13 도서 『신입 사회복지사의 좌충우돌 실천 이야기』 권대익 지음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6.09.06 1315
12 Feature 창조와 협력의 힘을 이끄는 발원지, 협업 공간의 디자인 <2> '메이커스페이스'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6.09.06 837
» Feature 창조와 협력의 힘을 이끄는 발원지, 협업 공간의 디자인 <1> '코워킹 스페이스'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6.08.17 901
10 사회적 현황 세계의 청년빈곤과 한국의 노동시장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6.08.09 897
9 사회적 현황 인구절벽과 “재론토크라시”의 지배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6.04.01 1430
8 통계·시책·자료 2016년 사회복지(시설,법인) 관리 안내 자료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6.03.10 997
7 통계·시책·자료 2016년 부산지역 사회복지관련단체 주소록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6.03.07 807
6 통계·시책·자료 사회복지사업법 개정 내용 안내(2016년 2월 3일 시행)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6.02.05 1468
5 Feature 2016년 신년특집 좌담회 “2016년 부산 복지 전망과 과제”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6.02.03 1392
4 사회적 현황 노동시장을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6.02.03 1033
3 통계·시책·자료 2015년 달라지는 복지제도와 시책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6.01.07 1350
2 통계·시책·자료 2015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6.01.07 1137
1 사회적 현황 2015년 올해 CSR 평판이 가장 좋았던 기업은? file admin 2015.12.14 17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Next
/ 10
관련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