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협의회 유튜브
subtitle
다채롭고 생생한 사회복지트렌드를 제시합니다.

독박육아는 그만, 함께 키우는 '해와달' 공동육아 사회적 협동조합

독박 육아가 뭐예요? ‘해와 달 공동육아사회적협동조합’

 

5살 아이의 아빠 권봉근 씨는 매일 아침 아이의 손을 붙잡고 해와 달 어린이집에 옵니다. 일찍 출근하는 아내를 대신해 아이를 등원시키고 오후에 출근하지요.

기사1.jpg

권봉근씨와 아들

 

 

 

“오며 가며 선생님과 내 아이에 대해 물어보고 고민을 함께 나눌 수 있어 좋아요.”

권 씨를 포함해 해와 달 어린이집의 아빠들은 아이들을 돌볼 뿐 아니라 어린이집 시설물 관리도 도맡아 합니다. 보일러가 고장 나면 달려오고 마루를 깔고 아이들이 이용할 책상이나 밥상도 만들어주지요.

기사2.jpg

조합원 아빠들의 재능 기부로 증축공사가 마무리된 3층 방

 

3층 방 증축공사도 조합원 아빠들이 맡았습니다. 이들은 이름 대신 서로 별칭을 부릅니다. 알쏭, 애벌레, 꿀단지, 노란 지붕, 즐거워 등등. 별칭을 부르다 보니 교사와 부모들 사이에 격이 없어지고, 나이나 성별의 벽도 쉽게 무너집니다.

출퇴근길 걱정 뚝

‘해와 달공동육아사회적협동조합’은 2005년 서울 상도동 국사봉 자락에 해와달 어린이집을 개원했습니다. 이 어린이집은 공동육아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기사3.jpg

해와 달 어린이집은 동작구 성대로 16길 67-6 국사봉 산자락에 위치해있다.
 

4살부터 7살까지 자녀를 둔 37가구가 현재 조합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이 학교에 입학하면서 자동 탈퇴한 부모들까지 치면 지금까지 이 어린이집을 거쳐간 조합원 수는 약 120명에 이릅니다.

오전 7시 반 부모들은 출근길에 아이들을 맡깁니다. 조기 등원한 아이들은 어린이집에서 아침을 해결합니다. 퇴근이 조금 늦어도 발을 동동 구를 염려가 없습니다. 오후 7시 반까지 보육교사가 아이들을 책임지니까요.

기사4.jpg

 

놀 수 있는 자유와 재미를 만끽하는 아이들

영어, 피아노, 미술 같은 조기교육이 열풍이지만 이곳은 딴 세상입니다. 자연과 더불어 노는 것이 전부입니다. 날이 춥거나 덥거나 아랑곳하지 않고 바깥놀이를 즐깁니다.

 

“수십만 원의 돈을 냈는데 프로그램을 보니 놀고먹고 자고 또 놀고 이런 식의 프로그램을 보고 처음엔 적잖이 놀랐어요. 하지만 지금은 알아요. 그게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요. 그땐 뭘 몰랐던 거죠.” – 부모 조합원

기사5.jpg

뒷문만 열면 바로 산이 펼쳐지는 환상적인 공간에 자리 잡은 덕분에 눈이 오는 날이면 산책로는 썰매장이 됩니다. 어떤 아이들은 포대기를 깔고 미끄럼을 타고 눈밭을 뒹굴며 눈을 집어먹기도 합니다. 그러나 보육교사와 일일교사로 나선 엄마는 곁에서 위험한 상황이 벌어지지 않도록 지켜볼 뿐입니다.

“나무 타기, 긴 줄넘기, 물놀이, 얼음 깨기, 매미 잡기처럼 자연을 벗 삼아 놀면서 사계절을 배웁니다.” – 남봉림 해와 달 어린이집 원장

“아이가 행복해야 엄마가 행복합니다.”

찬이 엄마는 보육교사 시절 실습을 다니면서 공동육아를 체험하곤 자신도 엄마가 된다면 꼭 공동육아 방식으로 아이를 키우기로 맘먹었습니다.

기사6.jpg

 

“아이들에게 행복권이 보장되는 건 공동육아라고 생각합니다. 찬이는 여기서 자신이 좋아하는 그림 그리기와 종이접기, 나들이를 실컷 즐깁니다. 아이가 행복한 모습을 보니 저도 행복해집니다. ”

부모들이 공동육아를 통해서 얻는 즐거움은 각양각색입니다.

“처음 왔을 때 뒷문을 열고 나갔는데 산이 있어 홀딱 반했어요. 이곳은 아이가 본성대로 잘 클 수 있어 좋아요. 가만있고 싶을 때 가만히 있을 수 있고 흥얼거리고 싶을 때 흥얼거릴 수 있고요.”

“난 나서는 것을 싫어하고 관계를 밀쳐내는 성향이 있어요. 하지만 이곳은 연결을 할 수밖에 없는 곳이고 아이를 통해 사회성을 키워가는 곳입니다.”

“아이가 바뀌길 바라는 것보다는 아이에게 충분히 행복한 유년기 시간을 보장해주고 그걸 씨앗으로 마음의 힘을 얻어 가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다양한 어른들의 모습을 보여 줄 수 있어 좋아요. 직업도 다르고 성격도 다르고 선생님들도 개성 있고… 아이들이 다양한 어른들의 삶을 보면서 많은 것을 배우리란 생각이 듭니다. ”

기사7.jpg

 

교사는 자기 주도성 발휘… 경영은 조합원 몫

흔히 ‘공동육아’하면 부모들이 품앗이하듯 아이들을 돌보고 가르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교육은 보육교사가 그리고 어린이집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은 부모 조합원들이 책임지는 것이 원칙입니다.

연간 운영비는 약 3억 원. 부모들은 한 달 평균 35만 원 (누리과정 지원금 제외) 정도의 보육비를 냅니다. 교사들의 급여와 급식비 그리고 1년 동안 조합 차원에서 치러지는 각종 행사비는 조합비로 충당합니다.

기사8.jpg

하루 일과를 시작하기 전 가벼운 체조로 몸을 푸는 아이들

 

해와 달 어린이집의 원아수는 40여 명. 보육은 원장 1명에 방교사 5명, 영양사 1명, 보조교사 2명 등 총 9명이 책임집니다. 한 보육교사가 맡아야 하는 원아 수는 일반 어린이집보다 현저히 낮고, 교사들 복지도 괜찮은 편입니다.

 

“2년 만근을 하면 안식월을 쓰는데 유급휴가입니다. 보육교사들은 체력적으로 많이 부칩니다. 보충할 시간이 필요하죠. 선생님이 건강해야 아이들을 잘 돌볼 수 있으니까요.”

부모들은 비단 재정만 책임지는 것이 아닙니다. 매일 청소를 해주고 교사들이 쉬는 날이면 일일교사로 나섭니다. 김장은 물론 평소 먹는 김치를 담가주기도 하고요. 시설물 관리는 아빠들이 나섭니다. 남 원장은 “다양한 직업을 가진 부모들의 재능기부 덕”이라고 합니다.

“어린이집 운영 전반을 부모님들이 해결해주기 때문에 오롯이 교육에만 신경 쓸 수 있어요. 공동육아는 교사들이 자기 주도성을 갖고 뜻한 바를 펼쳐 나갈 수 있는 좋은 교육의 장입니다.”

기사9.jpg

남봉림 원장(왼쪽)과 부모 조합원이 이야기 꽃을 피우다 웃고 있다.

결코 쉽지 않은 공동육아, 대화로 풀어간다

부모들이나 보육교사들이나 만족도가 높은 편이지만 공동육아란 결코 쉽지 않습니다. 전국에 공동육아협동조합은 60곳에 이르지만 증가 추세는 둔합니다. 이들 가운데 39곳은 영리를 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사회적 협동조합으로 전환했습니다.

남 원장은 “출자금을 내고 모여서 생각을 합하는 과정이 쉽지 않아 생겨나는 만큼 없어지고 또 생겨나는 과정의 연속이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갈등 없는 공간은 없지요. 우린 얘기가 안 되면 다 같이 모여요. 갈등이 해결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지만 그대로 인정합니다. 자기를 내려놓고 맞춰가는 법을 배우게 됩니다. 상처도 생기고 어려움도 많지만 그러면서 성장하는 것 같아요.”

이곳은 CCVT가 없냐고 묻자 한 아빠가 “모두가 같이 돌보는데 우리 눈이 바로 CCTV”라며 받아넘깁니다. 그러면서 진짜 속내를 드러냈습니다.

기사9-1.jpg

행복한 점심시간. 식재료는 생협 먹거리를 이용한다.

“감시하는 거잖아요. 인간적이지 못합니다. 선생님들을 믿고 맡기는 곳인데 그러면 관계가 깨지고 맙니다. 증거를 잡겠다는 건데 전제가 잘못된 거죠.”

아동학대와 빗나간 어린이집의 행태로 많은 부모들이 가슴 아픈 게 슬픈 현실입니다. 하지만 한 발짝 서로 물러서서 곰곰이 생각해봤으면 좋겠습니다. 시간이 걸려도 다소의 어려움이 있더라도 과연 CCTV 설치가 최선인지 아닌지를 말이죠.

원문: 이로운넷 

출처 : ㅍㅍㅅㅅ

http://ppss.kr/archives/152508#_enliple

글: 백선기 이로운넷 책임에디터 / 사진: 이우기(사진가)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4 Feature 정년없는 직장.. 100살 직원의 탄생을 기다립니다.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8.02.09 453
» Feature 독박육아는 그만, 함께 키우는 ‘해와달’ 공동육아 사회적 협동조합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8.02.07 421
72 사회적 현황 대한민국의 아빠, 스웨덴의 파파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8.02.06 557
71 Feature 대면 상담을 가로막는 4가지 장애물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8.02.05 352
70 도서 『희망 담은 부산 정신보건사회복지 이야기』권성진 외12명 공저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8.01.31 525
69 사회적 현황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기 싫은 이유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8.01.26 407
68 Feature 노력도 배신한다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8.01.25 363
67 사회적 현황 나도 어른이 되고 싶다: 그런데, 어떤 어른?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8.01.24 514
66 Feature ‘인간적인 로봇’, 외로운 노후에 동반자 될까?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8.01.23 610
65 Feature 만약 임대료 걱정이 없는 빵집이 있다면?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8.01.23 351
64 사회적 현황 청년수당, 청년배당, 기본소득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8.01.17 924
63 Feature 읽는 이의 시간을 아끼는 비즈니스 글쓰기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8.01.15 416
62 사회적 현황 가난하면 밥 굶는게 당연한가요?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8.01.05 581
61 Feature 좋은 글을 쓰기 위한 9단계 1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8.01.04 603
60 도서 『인생의 숲을 거닐다』 한지연 지음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7.12.29 500
59 통계·시책·자료 2017 자활사업 안내 자료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7.12.14 503
58 Feature 문화에 따라 다르게 학습되는 공평함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7.12.07 372
57 도서 『사피엔스』 유발 하라리지음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7.11.29 414
56 사회적 현황 ‘끊이지 않는 고독사’ 그녀의 고독사를 막은 비결은? 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7.11.17 565
55 Feature [사회공헌이야기] 공헌을 모르면 공헌스쿨♪ - 갓뚜기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17.11.08 4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관련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