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협의회 유튜브
subtitle
부산의 사회복지, 우리 사회의 사회복지와 관련된 주요 뉴스를 알려드립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부산 노숙인 70% “코로나 때 가출”

 
향후 2,3년 노숙인 급증 예측

부산 거리 노숙인 10명 중 7명은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2020년 이후 거리 생활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숙인 전수 조사가 부산시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이뤄진 건 처음이다. 부산복지개발원과 현장 전문가는 코로나19 확산 시기보다 앞으로 더 많은 노숙인이 거리로 쏟아질 수 있다며 시의 선제 대응을 촉구했다.
 
27일 부산복지개발원에 따르면, 부산 거리 노숙인 155명 가운데 70.3%(109명)가 코로나 유행이 시작된 2020년 이후 거리 생활을 시작한 것으로 집계됐다. 거리 노숙인의 93%가 남성이고 87%가 부산진·동·중구에서 생활한다. 연령대는 60대 이상이 37.9%이고 50대가 32.8%로 대다수가 중장년층이다. 이번 조사는 복지개발원이 지난해 6월 8주 동안 일대일 면접 조사를 실시해 노숙인 현황과 복지 수요 등을 파악했다.

노숙의 결정적 계기는 경제적 어려움이었다. 노숙인 46.1%가 주거비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돈이 없거나 빚을 갚을 여력이 부족해 거리 생활을 택했다. 주로 코로나19 유행으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업종 중 하나인 임시 일용직 노동을 하며 PC방 찜질방 등에서 생활하다 실업 부상 등으로 수중에 돈이 떨어지면 거리로 내몰렸다. 코로나 유행 3년 동안 노숙인의 20%가 구직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했고 35%가 사회적 불안감과 두려움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개발원과 현장에서는 앞으로 2, 3년 내 거리 노숙인이 대거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정형재 부산희망드림센터장(노숙인 종합지원센터)은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됐을 당시 통계에 잡히지 않았던 숨어있는 노숙인이 많은 것을 체감했다. 2016년 경남 조선소 불황 여파로 부산 노숙인이 폭발적으로 늘었던 것처럼 코로나가 끝나고 저성장 추세가 이어지면 노숙인이 다시 크게 늘 수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현재 지원 체계 아래에서는 자활을 시도하던 노숙인이 다시 거리로 돌아가는 ‘노숙 회전문’ 현상이 빈번하다는 점이다. 거리 노숙인의 76.7%가 탈노숙 의향이 있다고 답했지만, 현장에서는 10명 중 7, 8명은 거리로 되돌아간다. 쪽방으로 거처를 옮겨도 열악한 주거환경 탓에 자활 의지가 꺾이기 일쑤다.

전문가는 거리 노숙자가 장기·만성적 노숙으로 굳어지기 전 초기 개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복지개발원 김정근 선임연구위원은 “노숙생활 두 달 이내에 최초 발견이 이뤄져 즉시 자립·자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며 “핵심은 공공임대주택 등 주거 보장과 사회적 지지 체계 강화다. 가족 친구 등 친밀한 관계의 지지가 부족한 노숙인일수록 자활 실패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원문보기 : http://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230228.220020080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0 [보건복지부] 알기 쉬운 제6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 안내 newfile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3.03.21 0
369 [보건복지부] 장애인이 직접 고른다, 개인예산제 첫 발…최대 7일간 24시간 긴급돌봄 new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3.03.21 0
368 [시사인] 부산대 배리어 지도 제작하고, 휠체어로 직접 다녀보고 [대학기자상] new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3.03.21 0
367 [한겨레] 부모도, 아이도 알 수 없는 그 속마음…“대신 말해주고 싶었어요” new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3.03.21 0
366 [부산일보] “아이 키우기 좋은 동네로” 주민 발의 조례 부산 첫 제정 new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3.03.21 0
365 [국제신문] 구직 활동 없이 '그냥 쉰' 청년층 50만 명 육박…역대 최대 new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3.03.21 0
364 [국제신문] 부산 소아응급환자 이송 평균 1시간 소요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3.03.20 0
363 [국제신문] 연차휴가 30% 못 쓸 형편인데...정부 근로시간 조정 반발 확산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3.03.20 1
362 [국제신문] 男소년범 감호위탁 필요한데…부울경 시설 8년째 하세월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3.03.09 0
361 [국제신문] 국민소득 한국 8% 급감…대만, 20년만에 추월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3.03.09 1
360 [한겨레] 당근마켓에 “유통기한 지난 식품 구해요”…고립 청년 SOS였다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3.03.07 18
359 [국제신문] 가는 길마저 쓸쓸…유족 시신인수 거부 4년새 75% 급증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3.03.07 10
358 [복지타임즈] 2022년 국민연금 기금운용수익률 –8.22% 기록, 장기 수익률 제고 위해 지속 노력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3.03.06 4
357 [시사인] 지하철 무임승차 논란, ‘진짜’ 노인은 누구인가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3.03.06 11
356 [시사인] 실직한 노동자, 왜 건강해졌을까? [삶이 묻고 경제학이 답하다]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3.03.06 7
355 [한겨레] 주 52시간에서 주 80.5시간 나라로... ‘원없이 일하라’는 정부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3.03.06 15
354 [국제신문] 영화숙·재생원 피해자 지원받을 근거 만든다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3.03.02 8
» [국제신문] 부산 노숙인 70% “코로나 때 가출”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3.02.28 9
352 [복지타임즈] 복지부, ‘2022년도 사회복지시설 평가 결과’ 발표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3.02.24 20
351 [이로운넷] '자살로부터 안전한 사회구현' , 12%인 자살생각률 2026년까지 4.6%로 부산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2023.02.24 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
관련배너